1979년 12·12 반란과 1980년 5·17 계엄령으로 정권을 잡아 집권한 전두환 대통령은 소위 '3S 정책'(Screen, Sex, Sports) 을 이용했다는 설이 있다.[1]1981년 전두환 당시 대통령은 청와대 수석비서관 회의에서 국민정서, 여가선용에 대한 이야기를 하다가, "프로 스포츠 한번 해봐라"라고 지시를 내렸다.[2] 실무를 담당한 이상주 당시 대통령비서실 교육문화수석 비서관은 대통령의 지시대로 대한야구협회와 대한축구협회에 프로화를 타진하고, 당시 야구인이었던 이호헌과 이용일이 18쪽 분량의 '프로야구창립계획서'를 만들게 되었다.[3] 축구계가 프로화에 막대한 비용이 든다고 보고한 것과 달리 야구계는 "정부 보조 한 푼 없이 프로 야구를 출범시킬 수 있다"라고 보고했고, 이 제안이 당시 집권자들의 구미를 당기게 되었다. 이후 각 지역을 연고지별로 분할하고 창단 기업을 물색하게 되었다.
프로 야구에 참여할 기업을 선정할 때는 모기업의 조건은 재무구조가 건실한 상시노동자 3만명 이상의 대기업이었다. 초기 기획단계에서 연고지 배정은 서울은 LG, 부산은 롯데였다.[2] 그러나 럭키금성(현 LG)는 손실이 큰 프로 야구단 운영을 꺼렸다. 프로 야구 창설이 위기에 봉착하자 정치인들은 자신의 혈연, 지연, 학연들을 모조리 동원해 그룹총수들을 설득하기 시작했고 그에 의해 두산그룹이 자사 주류 OB의 이름을 내걸고 충청권에 들어오게 되었다. 그리고 역시 정계인물들과 관계가 돈독했던 해태의 박건배 회장이 전라권에 해태를 참여시켰다.
팀명 | 팀명 변경 역사 | 창단일 | 변경일 / 해체일 |
---|---|---|---|
삼미 슈퍼스타즈 | 청보 핀토스 | 1982년 2월 5일 | 1985년 6월 21일 |
청보 핀토스 | 태평양 돌핀스 | 1985년 6월 29일 | 1988년 3월 8일 |
태평양 돌핀스 | 현대 유니콘스 | 1988년 3월 8일 | 1996년 3월 11일 |
쌍방울 레이더스 | 해체 | 1990년 3월 15일 | 2000년 2월 12일 |
현대 유니콘스 | 해체 | 1996년 3월 11일 | 2008년 3월 11일 |
팀 | 연고지 | 홈 경기장 | 제2 홈 구장 | 창단 연도 | 리그 참가 | 감독 | 주장 |
---|---|---|---|---|---|---|---|
두산 베어스 | 서울 | 잠실 야구장 | 빈칸 | 1982년 | 1982년 | 김태형 | 오재원 |
LG 트윈스 | 빈칸 | 1982년 | 1982년 | 류중일 | 류제국 | ||
넥센 히어로즈 | 고척스카이돔 | 빈칸 | 2008년 | 2008년 | 장정석 | 서건창 | |
SK 와이번스 | 인천 | 인천 SK 행복드림구장 | 빈칸 | 2000년 | 2000년 | 트레이 힐만 | 박정권 |
한화 이글스 | 대전 | 한화생명 이글스 파크 | 청주야구장 | 1986년 | 1986년 | 이상군(감독대행) | 송광민 |
KIA 타이거즈 | 광주 | 광주-기아 챔피언스 필드 | 빈칸 | 1982년 | 1982년 | 김기태 | 김주찬 |
삼성 라이온즈 | 대구 |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 | 포항야구장 | 1982년 | 1982년 | 김한수 | 김상수 |
롯데 자이언츠 | 부산 | 사직야구장 | 울산문수야구장 | 1975년 | 1982년 | 조원우 | 이대호 |
NC 다이노스 | 창원 | 마산종합운동장 야구장 | 빈칸 | 2011년 | 2013년 | 김경문 | 손시헌 |
kt 위즈 | 수원 | 수원 kt 위즈 파크 | 빈칸 | 2013년 | 2015년 | 김진욱 | 박경수 |
![]() ![]() |
지역 (인구) | 연고지 (인구) | 구단 |
---|---|---|
수도권 (25,098,664) | 서울특별시 (10,078,850) | 두산 베어스 |
LG 트윈스 | ||
넥센 히어로즈 | ||
인천광역시 (2,966,216) | SK 와이번스 | |
수원시 (1,199,903) | kt 위즈 | |
경상권 (13,202,716) | 부산광역시 (3,517,491) | 롯데 자이언츠 |
대구광역시 (2,518,467) | 삼성 라이온즈 | |
창원시 (1,093,329) | NC 다이노스 | |
전라권 (5,251,123) | 광주광역시 (1,492,948) | KIA 타이거즈 |
충청권 (5,109,737) | 대전광역시 (1,551,931) | 한화 이글스 |
두산 베어스 / LG 트윈스 | 넥센 히어로즈 | SK 와이번스 | 한화 이글스 | KIA 타이거즈 |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 고척스카이돔 | 인천 SK 행복드림구장 | 한화생명 이글스 파크 | 광주-기아 챔피언스 필드 |
수용인원: 26,000명 | 수용인원: 17,000명 | 수용인원: 25,000명 | 수용인원: 13,000명 | 수용인원: 20,500명 |
![]() |
![]() |
![]() |
![]() |
![]() |
삼성 라이온즈 | 롯데 자이언츠 | NC 다이노스 | kt 위즈 | |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 | 사직야구장 | 마산종합운동장 야구장 | 수원 kt 위즈 파크 | |
수용인원: 24,000명 | 수용인원: 26,800명 | 수용인원: 11,000명 | 수용인원: 22,000명 | |
![]() |
![]() |
![]() |
※ 참고 - 대한민국의 야구장 목록
다음과 같이 연도, 경기수, 관중수, 평균은 아래 표와 같다.[4]
연도 | 구단수 | 팀당경기수 | 총경기수 | 총관중수 | 증감치 | 평균 | 비고 |
---|---|---|---|---|---|---|---|
1982년 | 6구단 | 80 | 249 | 1,579,541 | - | 6,344 | 프로야구 첫 해, OB 베어스 우승. |
1983년 | 6구단 | 100 | 320 | 2,505,046 | +925,505 | 7,828 | |
1984년 | 6구단 | 100 | 325 | 1,942,288 | -562,758 | 5,976 | |
1985년 | 6구단 | 110 | 345 | 1,737,018 | -205,270 | 5,035 | |
1986년 | 7구단 | 108 | 404 | 2,328,143 | +591,125 | 5,763 | 빙그레 이글스 창단으로 7개구단체제 돌입 |
1987년 | 7구단 | 108 | 407 | 2,229,106 | -99,037 | 5,477 | 통산 총 관중 1천만명 돌파[5] |
1988년 | 7구단 | 108 | 408 | 2,127,917 | -101,186 | 5,215 | |
1989년 | 7구단 | 120 | 453 | 3,147,155 | +1,019,238 | 6,947 | 전·후기 리그 폐지 |
1990년 | 7구단 | 120 | 445 | 3,409,759 | +262,604 | 7,662 | |
1991년 | 8구단 | 126 | 542 | 4,074,552 | +664,793 | 7,518 | 쌍방울 레이더스 진입으로 8개구단체제 확립,롯데 자이언츠 최초로 단일구단 100만관중 돌파 |
1992년 | 8구단 | 126 | 563 | 4,322,639 | +248,087 | 7,518 | |
1993년 | 8구단 | 126 | 548 | 4,871,007 | +548,368 | 8,889 | |
1994년 | 8구단 | 126 | 540 | 4,382,032 | -488,975 | 8,115 | |
1995년 | 8구단 | 126 | 543 | 5,875,174 | +1,493,142 | 10,820 | |
1996년 | 8구단 | 126 | 543 | 4,774,765 | -1,100,409 | 8,793 | |
1997년 | 8구단 | 126 | 556 | 4,235,015 | -539,750 | 7,617 | 통산 총 관중 5천만명 돌파 |
1998년 | 8구단 | 126 | 550 | 2,929,572 | -1,305,443 | 5,326 | |
1999년 | 8구단 | 132 | 556 | 3,477,768 | +548,196 | 6,144 | 양대리그제의 도입으로 경기수를 확장 (같은 리그 60경기, 인터리그 72경기) |
2000년 | 8구단 | 133 | 554 | 2,777,068 | -700,700 | 5,013 | 리그에 관계없이 경기수를 일원화 (19×7) |
2001년 | 8구단 | 133 | 545 | 3,258,630 | +481,562 | 5,979 | 단일리그제로 환원 |
2002년 | 8구단 | 133 | 546 | 2,634,748 | -623,882 | 4,826 | |
2003년 | 8구단 | 133 | 545 | 2,950,231 | +315,483 | 5,413 | |
2004년 | 8구단 | 133 | 545 | 2,637,559 | -312,672 | 4,813 | |
2005년 | 8구단 | 126 | 517 | 3,640,690 | +1,003,131 | 7,042 | 2004년 병역비리파동으로 경기수 축소 |
2006년 | 8구단 | 126 | 518 | 3,240,992 | -399,698 | 6,257 | |
2007년 | 8구단 | 126 | 517 | 4,409,239 | +1,168,247 | 8,529 | |
2008년 | 8구단 | 126 | 519 | 5,636,191 | +1,226,952 | 10,860 | |
2009년 | 8구단 | 133 | 532 | 5,925,285 | +289,094 | 11,138 | 경기수를 팀당 126경기에서 133경기로 환원 |
2010년 | 8구단 | 133 | 532 | 5,928,626 | +3,341 | 11,144 | |
2011년 | 8구단 | 133 | 532 | 6,810,028 | +881,042 | 12,801 | 통산 총 관중1억명 돌파 |
2012년 | 8구단 | 133 | 532 | 7,156,157 | +346,129 | 13,451 | 한 시즌 최다 관중 돌파 |
2013년 | 9구단 | 128 | 576 | 6,441,945 | -714,212 | 11,184 | NC 다이노스 9구단 합류. 구단 수가 홀수가 되어 휴식일이 생긴 문제로 경기수를 128경기로 축소. |
2014년 | 9구단 | 128 | 576 | 6,509,915 | -646,242 | 11,302 | |
2015년 | 10구단 | 144 | 720 | 7,360,530 | +850,515 | 10,223 | kt 위즈 합류. 10구단체제 완성으로 본격적으로 경기수를 팀당 144경기로 확장. |
2016년 | 10구단 | 144 | 720 | 8,339,577 | +979,047 | 11,583 | |
총계 | 17,130 | 131,098,639 |
빨간색 글씨는 최고, 파란색 글씨는 최저.
※ 참고(2015년 기준)
구단 | 우승 횟수 | 준우승 횟수 | 우승 연도 | 준우승 연도 |
---|---|---|---|---|
기아 타이거즈 | 1983, 1986, 1987, 1988, 1989, 1991, 1993, 1996, 1997, 2009, 2017 | |||
삼성 라이온즈 | 1985, 2002, 2005, 2006, 2011, 2012, 2013, 2014 | 1982, 1984, 1986, 1987, 1990, 1993, 2001, 2004, 2010, 2015 | ||
두산 베어스 | 1982, 1995, 2001, 2015, 2016 | 2000, 2005, 2007, 2008, 2013 | ||
현대 유니콘스 | 1998, 2000, 2003, 2004 | 1994, 1996 | ||
SK 와이번스 | 2007, 2008, 2010 | 2003, 2009, 2011, 2012 | ||
LG 트윈스 | 1990, 1994 | 1983, 1997, 1998, 2002 | ||
롯데 자이언츠 | 1984, 1992 | 1985, 1995, 1999 | ||
한화 이글스 | 1999 | 1988, 1989, 1991, 1992, 2006 | ||
넥센 히어로즈 | — | 2014 | ||
NC 다이노스 | — | 2016 |
경기 운영 체제현 프로 야구는 단일리그제로 각 팀은 144게임씩 총 720경기를 가진다. 9회말 이후 동점일 경우 연장전을 가진다. 연장전은 12회까지 치른다. 12회말 이후 동점일 경우 무승부로 처리한다. 더블헤더제도는 도입되지 않으며 취소 된 경기는 페넌트레이스가 종료 된 이후에 별도로 경기를 편성하여 진행한다. 순위는 승률에 따라 결정하며, 승률계산은 승수/경기수에서 무승부를 뺀경기총수 로 하도록 하였다. 기존에는 무승부를 경기수에서 제외하였으나, 2010년에는 승률을 전체경기를 기준으로 하도록 바꾸었기 때문에 무승부도 승률을 낮추는 요인이 되었었다. 그러나 2011년 8개 구단 감독들의 반발로 2년 만에 무승부는 경기수 에서 제외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2010년과 다르게 5회 클리닝타임이 부활했으며 포스트시즌은 연장 15회까지 경기 가능한 것으로 수정하였다. 프로야구 전광판 표시가 신축구장과 시설교체가 가능한 구장부터 기존 스트라이크 - 볼 - 아웃(S-B-O)의 표기에서 국제 기준에 맞게 볼 - 스트라이크 - 아웃(B-S-O)의 표기 방식으로 바꿔서 시범운영된다.시즌 MVP와 신인왕 수상 선정 기준을 패넌트레이스를 기준으로 한다.경기 개시시간은 주중 18:30 / 주말 17:00, 단 개막2연전과 5월 6일까지 편성되는 경기들중 일요일과 공휴일에 열리는 경기는 오후 2시부터 치러진다. 그러나 혹서기(7~8월) 기간동안은 주말, 공휴일 경기 개시시간이 18:00로 늦춰진다.2015년에는 10구단·하루 5경기 체제와 더불어 4-5월과 8-9월에만 한해 일요일에는 오후 2시와 오후 5시로 경기를 나누어 편성할 계획이다. 5경기 중 4경기가 오후 2시에 시작하고, 나머지 1경기는 오후 5시에 열린다. 모든 선수가 출전가능했던 퓨처스리그에도 엔트리 등록 규정을 제정하여 경기당 출전할 수 있는 선수는 26명으로 제한해 경기 1시간30분전까지 등록하고 인원이 적은 상무와 경찰청을 제외한 9개 구단은 엔트리에서 말소될 경우 3일간 재등록이 불가능하다. 도핑테스트는 퓨처스리그까지 확대 시행하며 표적검사 인원도 늘린다. 경기장 질서유지를 위해 선수단 및 프런트는 덕아웃 출입시 구단의 로고가 찍힌 옷을 반드시 착용한다. 시범경기는 팀당 14경기씩 총 70경기를 가진다. 올스타전![]() 올스타전은 팬들의 투표와 감독의 추천을 통해서 뽑혀진 선수들의 게임으로 매년 여름에 드림 올스타(SK 와이번스, 삼성 라이온즈, 두산 베어스, 롯데 자이언츠, kt 위즈)와 나눔 올스타(넥센 히어로즈, KIA 타이거즈, 한화 이글스, LG 트윈스, NC 다이노스)로 팀을 나누어 치러진다. 9회까지 승리팀이 나오지 않을 경우 연장 10회부터 승부가 날 때까지 승부치기를 시행한다. 포스트 시즌페넌트레이스가 끝나고 순위 1위-5위의 팀들이 참가하게 된다. 포스트시즌 엔트리는 27명이다. 포스트시즌은 가을야구라도 불린다.
|
![]() |
![]() |